반응형
생후 0~12개월, 소리를 인지하고 반응하는 시기
생후 1년은 언어발달의 토대를 쌓는 시기입니다. 아이는 아직 말을 하진 못하지만, 소리를 듣고, 모방하며, 감정을 통해 언어를 받아들이는 능력을 키웁니다.
- 0~3개월: 울음소리로 요구 표현, 엄마 목소리에 반응
- 4~6개월: 옹알이를 시작, 주변 소리에 고개를 돌림
- 7~9개월: '빠빠', '맘마' 등의 반복 소리 생성
- 10~12개월: 단어 의미를 이해하고 따라 하려는 시도
자극 방법: 얼굴 가까이에서 말 걸기, 감탄사 활용, 거울 놀이, 다양한 소리 들려주기
1~2세, 말문이 트이기 시작하는 시기
이 시기부터 아이는 본격적으로 단어를 사용하고, 점차 문장 구성을 시도합니다. 특히 18개월 무렵은 언어폭발기의 시작점입니다.
- 13~18개월: 단어 수 약 5~20개, 물건 지칭 가능
- 19~24개월: 단어 수 50~100개 이상, 2어문장 사용
자극 방법: 눈맞춤하며 또박또박 말하기, 설명 위주 대화, 선택지 주기, 반복적 책 읽기
2~3세, 문장 표현과 의사소통 능력 확장 시기
아이가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시도하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합니다. 말 실수나 부정확한 발음은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 25~30개월: 3~4어 문장 사용 가능, 질문 형태의 말 시도
- 31~36개월: 자기 경험 설명, 단순 이유 설명 가능
자극 방법: 말 확장하기, 역할놀이, 실생활 연결 대화, 반복+확인 대화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소들
환경 요소 | 긍정적 영향 | 부정적 영향 |
---|---|---|
부모와의 상호작용 | 꾸준한 대화, 반응적 언어 사용 | 일방적 명령, 반응 없는 대화 |
디지털 기기 사용 | 제한적 상호작용적 시청 | 장시간 노출, 혼자 시청 |
놀이 유형 | 역할놀이, 그림책, 신체놀이 | 자극 없는 반복적 혼자 놀이 |
가족 구조·양육태도 | 따뜻한 관심, 반응적 양육 | 과잉 보호 또는 무관심 |
매일의 작은 대화가 언어 발달의 첫걸음
0~3세는 인생 전체에서 언어의 기초를 만드는 가장 중요한 시기입니다. 말이 늦는다고 무조건 걱정하기보다는, 아이가 어떤 방식으로 세상과 소통하려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먼저입니다.
하루 10분이라도 아이와 눈을 맞추고, 반복적으로 대화하고, 흥미로운 놀이와 책을 통해 자연스럽게 언어 자극을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부모의 따뜻한 말 한마디, 아이의 말문을 여는 첫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2) 우리아이 발달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치료 효과를 높이는 병행 치료법: 감각통합, 놀이치료 등 완벽 가이드 (3) | 2025.07.17 |
---|---|
언어치료 전에 꼭 알아야 할 기본 용어 가이드 (2) | 2025.07.17 |
언어발달, 놀이가 답이다! 창의력과 언어 능력을 키우는 상호작용 놀이법 (4) | 2025.07.17 |
언어 자극 놀이 10가지: 집에서 말문 트이게 도와주는 똑똑한 육아법(0-3세) (3) | 2025.07.17 |
그림책으로 말문 트이기: 0~3세 아이에게 꼭 읽어줘야 할 책과 활용법 (6) | 202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