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우리아이 발달 가이드

여름방학 '스테이케이션' 속 언플러그드 코딩 놀이! (5-7세) 어휘, 논리, 창의력 UP!

by SV_Banggrae:) 2025. 7. 30.
반응형

엄마 아빠와 아이가 동네 지도를 그리고 이야기 나누는 모습

 

안녕하세요~! 아이들과 함께하는 여름방학, 멀리 떠나지 못해도 괜찮아요. 아늑한 우리 집에서 즐기는 특별한 휴가, '스테이케이션(Staycation)' 속에서 아이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과 더불어 어휘력을 쑥쑥 키워줄 마법 같은 활동을 소개해 드릴게요! 바로 아이들이 좋아하는 이야기에 코딩의 원리를 접목한 '스토리텔링 코딩'을 소개하겠습니다!


1. '스테이케이션' 속 스토리텔링 코딩, 왜 최고의 조합일까요?

집에서 보내는 '스테이케이션'의 편안하고 익숙한 환경은 아이가 새로운 개념인 코딩을 부담 없이 받아들이고, 상상력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최적의 무대가 됩니다.

  • 몰입도 높은 학습 환경: 외부 자극이 적고 안정적인 스테이케이션 환경은 아이가 스토리텔링 코딩 놀이에 더욱 깊이 몰입하고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창의력과 상상력 폭발: 집이라는 익숙한 공간에서 펼쳐지는 '이야기'와 '코딩'의 결합은 아이의 상상력을 무한대로 자극합니다. 정해진 교구가 아닌 집 안의 물건들을 활용하며 더욱 창의적인 코딩 활동을 할 수 있죠.
  • 문제 해결 능력 향상: 이야기 속 주인공이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순서로 명령을 내려야 할지 고민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자연스럽게 발달합니다. 이는 스테이케이션 중 아이가 마주하는 소소한 문제 해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요.
  • 부모-자녀 유대감 강화: 여름방학 스테이케이션 동안 부모와 아이가 함께 이야기를 만들고 코딩 미션을 해결하며 보내는 시간은 단순한 놀이를 넘어, 깊은 정서적 교감과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합니다.
  • 언어 발달 촉진: 이야기를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순서를 설명하고,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아이의 어휘력과 표현력이 향상됩니다.

2. 여름방학 '스테이케이션' 속 언플러그드 스토리텔링 코딩

컴퓨터 없이도 코딩의 기본 개념을 몸으로 직접 경험하며 익히는 '언플러그드 코딩'은 스테이케이션에서 아이와 함께하기에 아주 좋은 활동이에요. 그림책 속 주인공에게 명령을 내리면서 아이의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워주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 준비물과 공간 준비

  • 준비물: 아이가 좋아하는 그림책 (길 찾기, 모험 이야기가 특히 좋아요!), 큰 종이 (전지, 스케치북 여러 장 이어 붙이기 등), 색연필/마커, 블록 또는 아이가 좋아하는 작은 장난감 인형 (주인공 역할), 화살표 스티커나 직접 그린 화살표.
  • 놀이 공간: 거실 바닥처럼 넓은 공간을 확보하는 게 좋아요. 매트나 담요를 깔고 그 위에 종이를 펼치면 더욱 아늑한 놀이 공간이 됩니다. 에어컨으로 실내 온도를 시원하게 유지하여 쾌적한 스테이케이션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2) 놀이 방법: 단계별로 따라 해봐요!

  • 1단계: 그림책 속 이야기 탐색 & 미션 설정 (5분)
    • 아이와 함께 좋아하는 그림책을 읽어주세요. 이야기 속 주인공이 어떤 목표를 가지고 있는지,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 함께 이야기 나눕니다.
    • 예를 들어, "숲 속 아기 곰돌이가 엄마 곰에게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사과를 따려면 어떤 길로 가야 할까?"처럼 구체적인 미션을 설정하며 이번 스테이케이션의 첫 번째 코딩 모험을 시작합니다.
    •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만약~이라면(조건)", "~을 ~번 반복(반복)"과 같은 코딩 개념을 일상 언어로 설명해 줄 수 있는 그림책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2단계: '모험 지도' 만들기 (10-15분)
    • 큰 종이에 그림책 속 주요 배경(숲, 바위, 강, 집 등)을 간단하게 그려 '모험 지도'를 만듭니다. 아이가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스티커를 붙이며 참여하게 해주세요.
    • 미션의 출발점과 도착점을 명확히 표시하고, 중간중간에 통과해야 할 '장애물'이나 '아이템'(예: 꿀통, 열쇠)을 그려 넣습니다.
    • 아이가 좋아하는 작은 장난감 인형을 주인공으로 정하고 출발점에 놓습니다. 마치 우리 집이 거대한 모험의 세계로 변신한 것처럼요!
  • 3단계: '명령어' 만들고 코딩하기 (15-20분)
    • 이제 주인공 인형이 미션을 해결하고 도착점까지 가기 위한 '명령어(코드)'를 아이와 함께 만듭니다.
    • 주요 명령어는 '앞으로 한 칸', '뒤로 한 칸', '오른쪽으로 돌기', '왼쪽으로 돌기', '점프하기' 등 단순한 동작으로 시작해요. 화살표 스티커나 직접 그린 화살표로 명령을 시각적으로 나타냅니다.
    • 아이가 먼저 "앞으로 가!"라고 말하면, 부모님이 화살표를 붙이거나 종이에 적는 식으로 함께 명령어를 순서대로 나열해 보세요.
    • 논리적 사고력 향상 팁:
      • 순서 개념: "어떤 명령을 먼저 해야 할까?", "이 명령 다음에 뭘 할까?" 하면서 순서대로 명령을 배열하는 중요성을 가르칩니다.
      • 반복 개념: "바위가 3개 있는데, 세 번 점프해야겠네!"처럼 반복되는 동작을 묶어 '반복' 개념을 자연스럽게 알려줍니다.
      • 조건 개념: "만약 강을 만나면 다리를 건너야 해", "만약 괴물이 나타나면 숨어야 해"처럼 특정 조건에서 다른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며 '조건' 개념을 경험하게 합니다.
      • 오류 찾기 (디버깅): 명령대로 움직여보다가 주인공이 길을 잘못 들거나 미션에 실패하면 "어디서 잘못된 걸까?", "어떤 명령을 바꿔야 할까?" 하고 함께 오류를 찾아 수정해 봅니다. 이 과정이 코딩의 '디버깅(Debugging)' 개념과 동일합니다.
  • 4단계: '모험 실행' 및 이야기 확장 (10-15분)
    • 만들어진 명령어 순서대로 주인공 인형을 움직여 봅니다. 아이가 직접 인형을 움직이며 명령을 수행하게 해주세요.
    • 미션에 성공하면 함께 환호하고, 실패하더라도 "괜찮아! 다시 해보자!"라며 격려합니다.
    • 놀이가 끝난 후에는 "우리 곰돌이가 꿀을 찾아서 정말 기뻤겠지?", "만약 곰돌이가 다른 길로 갔다면 어떤 일이 생겼을까?"처럼 이야기를 확장하고, 아이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질문을 던져 대화를 이어갑니다.

(3) 주의할 점

  • 안전: 가위나 색연필 사용 시 아이가 다치지 않도록 옆에서 지도해 주세요.
  • 아이 주도: 부모가 정답을 알려주기보다,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해결책을 찾아나가도록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주세요. 부모는 옆에서 '도우미' 역할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과정에 집중: 완성된 지도의 퀄리티나 완벽한 코딩보다는, 아이가 생각하고 고민하고 즐거워하는 '과정' 자체에 집중해 주세요. 스테이케이션의 핵심은 '함께하는 즐거움'이니까요!


코딩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지만, 우리 아이들에게 코딩을 '어려운 공부'로 가르치기보다는 '재미있는 놀이'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여름방학 동안 집에서 즐기는 스테이케이션은 아이가 편안함을 느끼며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예요. 스토리텔링 코딩은 아이의 눈높이에서 가장 자연스럽게 코딩의 핵심 원리인 논리적 사고, 문제 해결, 순서 개념을 익히게 합니다. 아이가 이야기를 만들고, 그 이야기를 코딩으로 구현하며 "내가 해냈어!"라는 성취감을 느끼는 순간은 아이의 자존감과 학습 의지를 크게 높여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