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우리아이 발달 가이드

떼쓰는 아이에게 '예의' 가르치기! 단호하지만 따뜻한 '미덕 훈육'

by SV_Banggrae:) 2025. 8. 9.
반응형

화가난 아이와 엄마의 대화

 

아이가 마트 바닥에 드러누워 울고불고 떼를 쓰거나,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징징거릴 때마다 부모님들의 마음은 무너지고, 당황스러우셨죠? 아이의 떼쓰기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몰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 모든 부모님들이 한 번쯤은 겪는 일일 거예요.

오늘은 아이의 떼쓰기 행동을 단순히 막는 것을 넘어, 단호하지만 따뜻한 '미덕 훈육'을 통해 아이에게 '존중'과 '배려'의 미덕을 가르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떼쓰기는 아이의 감정 표현이니, 그 감정을 인정하면서도 올바른 행동을 가르쳐주는 현명한 부모의 훈육법을 함께 배워봐요!


1. 떼쓰기는 왜 할까요? 아이의 '떼쓰기' 속에 담긴 의미!

떼쓰기는 아이의 잘못된 행동이 아니라, 아이가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표현하는 하나의 방식입니다. 이 속에 담긴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 훈육의 첫걸음이에요.

  • 감정 표현의 서투름: 아이는 아직 자신의 복잡한 감정(화남, 속상함, 불안함 등)을 말로 표현하는 것이 서툴러요. 그래서 온몸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는 '떼쓰기'를 하게 됩니다.
  • 욕구 충족의 수단: 원하는 것을 말로 표현했을 때 들어주지 않거나, 거절당했을 때 떼쓰기를 하면 부모가 들어준 경험이 있다면, 떼쓰기가 욕구 충족의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학습하게 됩니다.
  • 부모의 관심 끌기: 부모가 자신에게 집중해주지 않을 때, 떼쓰기를 통해 부모의 관심을 얻으려는 행동일 수 있습니다.

2. 단호하지만 따뜻하게! 떼쓰는 아이에게 '예의' 가르치기

떼쓰는 아이에게 '안 돼!'라고 소리 지르거나 무작정 요구를 들어주는 대신,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며 '존중'과 '배려'의 미덕을 가르쳐주세요.

  • 1단계: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고 공감하기
    • "네가 지금 장난감을 갖고 싶어서 많이 속상했구나."
    • "엄마가 안 된다고 하니까 화가 많이 났구나."
    • 팁: 먼저 아이의 떼쓰기 행동이 아닌, 그 행동 뒤에 숨어있는 '속상함', '화남' 등의 감정을 읽어주고 공감해 주세요. 아이는 자신의 감정이 존중받는다고 느껴 심리적으로 안정됩니다.
  • 2단계: '상대방 존중'의 미덕을 연결하여 단호하게 말하기
    • "하지만 떼쓰면서 소리를 지르는 것은 다른 사람을 불편하게 할 수 있어."
    • "우리가 떼를 쓰면 다른 친구들이 놀라서 무서워할 수도 있단다."
    • 팁: 아이의 감정은 인정하되, 떼쓰는 행동은 용납할 수 없음을 명확히 알려주세요. 이때 '존중', '배려'와 같은 미덕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면 아이의 인성 교육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 3단계: '바라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알려주고 선택권 주기
    • "네가 장난감을 정말 갖고 싶다는 것을 알겠어. 갖고 싶다고 말로 이야기해주면 좋겠어."
    • "지금 진정하고 엄마에게 말로 이야기해볼래? 아니면 잠시 앉아서 쉬었다가 이야기할까?"
    • 팁: 아이가 떼를 멈추고 할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을 제시하고, 떼쓰기 대신 선택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알려주세요. 아이는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통제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 4단계: 떼쓰기 대신 '올바른 행동'을 했을 때 크게 칭찬하기
    • "와, 네가 속상한 마음을 꾹 참고 '갖고 싶어요'라고 이야기해 줘서 엄마가 정말 기뻐!"
    • 팁: 떼쓰기 대신 올바른 행동(예: 말로 표현하기, 기다리기)을 했을 때 즉각적으로 칭찬해 주세요. 아이는 떼쓰기 대신 올바른 행동을 선택했을 때 더 큰 보상이 돌아온다는 것을 깨닫고, 긍정적인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아이가 떼쓰는 모습을 보면 부모로서 당황하고 지칠 때가 많죠. 하지만 떼쓰기 속에는 아이가 표현하고 싶은 간절한 마음이 담겨 있답니다. 중요한 것은 그 마음을 먼저 읽어주고, 아이가 건강하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옆에서 도와주는 것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미덕 훈육'을 통해 떼쓰기라는 어려운 순간이 아이에게는 '예의'와 '존중'을 배우는 소중한 기회가 되고, 부모님에게는 아이와 더 가까워지는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단호하지만 따뜻한 부모님의 사랑이 있다면, 우리 아이는 올바른 인성을 가진 아이로 성장할 것입니다! 육아 파이팅!


 

 

반응형